우당 생애와사상 독립을 위해서는 먼저 백성을 깨우쳐야한다.

  • 민족교육 기반 구축

  • 헤이그특사 파견

  • 신흥무관학교 개교

  • 3·1운동의 도화선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 아나키스트 독립운동

  • 연합군 항일투쟁

01 을사늑약 반대운동과 민족교육 기반 구축

우당은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의 음모가 진행되자, 의정부 참찬 이상설과 함께 참정대신 한규설, 외무대신 박제순, 시종무관 민영환 등을 방문하여 이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반대해야 된다는 입장을 설파했다.

일제의 압력으로 감리교 웹워스 청년회가 해체되자, 1905년 상동청년학원을 개교하여 이승만 박사를 학감으로 전국적으로 애국청년들을 모집하여 신학문과 민족 의식을 교육하고, 1907년에는 직접 학감까지 담당했다.

02 신민회 창립과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 파견 주도

1906년에 상동교회에서 전덕기 목사, 이동녕, 양기탁선생 등과 함께 최초의 독립운동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를 발족하여 독립운동에 박차를 가했다.

신민회가 1907년 안창호선생 주도로 설립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비밀결사이기 때문에 확인이 어렵지만 1906년 이동녕선생이 신민회 설립이후 이상설선생의 용정촌 서전서숙에 참여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1906년 창립설이 타당하자고 해석(협성대 서영석 교수)

신민회에서는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밀사)를 파견을 결의하고 우당의 주선으로 고종의 윤허를 받아 이상설을 정사, 이준·이위종을 부사로 하여 특사를 파견했다.

그러나 헤이그 특사가 일제의 집요한 방해로 실패하고, 이준열사가 현지에서 순국함에 따라 신민회에서는 외교노선을 통한 독립은 불가능하다는 판단하고, 무장투쟁노선이 불가피하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모색했다.

03 신흥무관학교 개교, 독립군 지도자 양성

우당은 1909년 연해주에 망명중인 이상설을 방문, 만주에 해외독립운동 기지를 건설 하기로 협의하고 구체적인 망명계획을 추진했다.

무장독립운동 기지건설을 위하여 우당은 1910년 6월부터 이동녕, 장유순, 이관직선생 등과 같이 2개월 동안 독립운동 기지를 물색하려고 서간도 일대를 답사하고 귀국했다.

마침 8월에 경술국치를 당하자, 우당은 6형제 가족회의의 결의에 따라 전 가족 40여명이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 독립운동 자금 40만(1969년 현재 화폐 가치 600억 원)을 가지고 12월 압록강을 건너 망명했다.

그러나 헤이그 특사가 일제의 집요한 방해로 실패하고, 이준열사가 현지에서 순국함에 따라 신민회에서는 외교노선을 통한 독립은 불가능하다는 판단하고, 무장투쟁노선이 불가피하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모색했다.

1911년 4월 길림성 유하현 삼원보 추가가에서 300여 망명자들이 참석한 군중대회를 개최, 영남 유림대표 이상용을 대표로 망명 조선족 자치단체인 경학사(耕學社)를 설립하고, 6월에 무관학교 전신인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립하여, 신학문은 물론 군사교육을 시작했다.

그러나 현지인들의 냉대와 방해로 학교운영이 어렵게 되자, 우당은 중국 대총통위엔스카이(袁世凱)를 찾아가 면담하고, 그의 호의로 통화현 합리하로 신흥강습소를 이전, 1912년 새로 교사를 지어 본격적인 군사교육을 실시했다.

3·1운동 이후 국내에서 무관학교 지망생이 쇄도하자, 고산자로 다시 이전하고 추가가, 합니하 등을 분교로 하여 1920년 해산될 때까지 3,500여명의 독립군 지도자를 양성했다. 경학사를 부민단, 한족회로 개편하여 학교운영을 지원했다.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은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대전자령 전투 등 모든독립전쟁을 주도했고, 1940년 임시정부에서 광복군을 창설할 때, 지청천 사령관을 비롯한 지휘관들은 대부분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이다.

04 고종 망명운동 추진, 3·1운동의 도화선 역할

우당은 고종을 망명시켜 독립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하고,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종 망명계획을 추진했다.

고종의 매부인 조정구 대감과 그 아들 조남익을 통하여 고종 황제와 소통하여 해외 망명을 내약 받고, 고종의 측근인 민영달로부터 5만원을 받아, 북경에 행궁을 마련했다. 일제는 고종 망명계획을 탐지하고, 저지하려고 고종을 독살하자, 전국민이 분노하여 3.1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고종의 국장을 계기로 한용운 대표와 대규모 대중봉기 및 독립선언 계획을 협의하고, 3·1일 거사 직전에 망명계획을 추진한 조정구, 조남익 부자와 함께 북경으로 망명했다.

05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

북경에서 이시영, 이동녕, 조성환, 조완구 등과 3·1운동 사후의 발전 방안을 협의하고 4월에는 이동녕, 이시영과 함께 상해로 이동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에 참여하여 초대 의정원 의원(29명)으로 피선되어 임시정부수립 기초작업에 동참했다.

우당은 의정원 의원의 최고령자로 의장으로 추천되었으나 이동녕에게 양보했다.

그러나 임시정부 수립이후 자리다툼과 파벌작용으로 독립운동 역량이 약화됨을 보고, 신채호선생 등과 같이 북경으로 돌아가 북경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세력을 규합하여 아나키스트운동과 의열투쟁을 전개했다.

06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과 의열투쟁

아나키즘은 “무정부주의”로 번역하여 오해의 소지가 많아 요즘에는 아나키즘이라고 사용하고 있다. 아나키즘은 강력한 제국주의 정부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고, 대외 침략주의를 지향하므로, 이를 거부하고 민주적이고 분권적인 작은 정부를 세워 국민들의 자유와 평등, 인권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정치사상이다.

우당은 1922년부터 북경에서 이을규, 이정규, 유자명 등과 함께 러시아 시인이며 사상가인 아나키스트 에루생코 등과 함께 “행동하는 자유주의”운동을 전개하면서 아나키즘을 받아들였다. 이 운동에는 신채호, 감창숙 등이 참여하고 북경대학의 루쉰(魯迅), 대만의 범본양(范本梁)과 연대했다.

1924년에는 이을규, 이정규, 정화암, 백정기 등과 아나키스트 운동의 중심이 될 “재중조선무정부주의자 연맹”을 결성하고, 기관지 “정의공보”를 발간하였다.
1928년에는 상해에서 한국, 중국, 필리핀, 대만, 일본, 안남 등의 아나키스트들이 주최 하는 “동방무정부주의자 대회”에 우당은 “한국의 독립과 무정부주의 운동” 이라는 논문을 보내, 이 대회에서 결의안으로 채택되었다.

1929년 이을규, 정화암, 백정기, 김종진, 엄순봉 등을 북만주로 파견하여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을 비밀리에 결성하고, 김좌진장군의 “재만한족연합회”를 적극 지원했다.

1931년 만보산사건과 만주사변으로 상해로 철수한 동지들을 규합하여 “남화한인 연맹”을 결성하고 유자명을 의장으로 선임하는 등 아나키즘사상을 이념으로 한 의열 투쟁에 전념했다.

<의열 투쟁 >
1924년 김원봉의 의열단은 북경을 중심으로 행동조직으로 강화되었고, 우당은 김창숙, 신채호, 유자명 등과 함께 후원했다.

9월 정화암, 김성수, 중국인 왕아초(王亞樵), 화균실(華均實), 일본인 전화민(田華民, 일본명 佐野), 오수민(吳秀民 일본명 伊藤) 등 7인이 상해에서 “항일구국연맹”을 결성하고, 비밀행동조직 흑색공포단을 조직했다.
- 흑색공포단 천리방, 백정기, 원신창, 이강훈, 유기문 등은 중국국민당 친일그룹인 왕정위(汪精衛)를 암살하려다 부관 사살, 아모리(廈門) 일본영사관 폭파했다.
- 1932년 흑색공포단은 천진 부두에서 일본 군수물자를 적재한 일본 기선을 폭파하고, 천진 일본영사관에 폭탄을 투척했다.

07 한·중 연합군의 항일투쟁

우당은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일제가 만주를 점령하자 중국의 항일 부대와 우리독립군이 협조하여 연합작전을 추진하도록 지도했다.

한·중 공동작전을 추진하는 중 1932년 요령성민중자위군(遼寧省民衆自衛軍) 총사령 당취오(唐聚五)와 양세봉(梁世奉)이 지휘 하는 조선혁명군 간의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일본 광동군사령관을 처단하려고 잠입하던 중에, 대련에서 일본수상에 체포되어, 여순 감옥으로 이감, 고문으로 1932년 11월 17일 순국했다.

중국정부에서는 2000년 우당 선생이 한중 연합, 항일투쟁에 기여한 공로로 “혁명열사”로 추서했다.